해외, 국내 VPS업체 총정리
- 추천, 리뷰
- 📚 3.2min to read
2023년 5월 2일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

모든 리뷰는 15달러(한화 약 18000원)이하의 VPS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올해 1월까지 잘 사용하고 있던 cafe24가 트래픽이 부족하여 수시로 다운되는것을 보고 더 싸게 많은 트래픽을 이용할 수는 없는지 알아보던 중 VPS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VPS란 Virtual Private Server의 약자로 가상머신같은것이며, 자신이 관리자 계정을 얻어 서버를 진짜 서버처럼 관리할 수 있는 것 이다.
따라서, 리눅스에 대한 기본 지식이 없는 사람은 다루기 어려울 수 있지만 많은 업체가 Nginx, Apache등 자동 설치를 지원한다.
시간이 없는 사람들을 위해 맨 아래에 표를 만들어 두었다.
해외 업체
Vultr
VPS를 처음 접했을 때는 리눅스 커맨드를 rm -rf / 밖에 몰랐기에 윈도우 서버 위주로 찾았지만, 라이선스비용(한달 약 17000원)이 부담되게 느껴져서 지인에게 윈도우 라이선스 비용 없는 VPS업체를 물어봤다. 지인은 Vultr라는 VPS업체를 추천해줬는데, 이 VPS업체는 커스텀ISO를 지원해서 윈도우 ISO에 드라이버만 깔고 Vultr에 올리면 VPS에 윈도우 10 설치가 가능했었다. 이때는 알아본게 AWS EC2밖에 없었기에 Vultr의 비용이 굉장히 저렴하게 느껴져서 바로 10달러짜리에 윈도우10 ISO를 설치하였다. IIS로 웹서버를 돌리니까 자원이 너무 많이 남아서 스팀을 깔아보았고, DBM을 실행해보았다.(결과는 성공이었다.) 웹도 열어보았지만 조금 버벅거리기는 해도 무난하게 웹서핑이 가능한 수준이었다.
우분투 사용시에는 매우 쾌적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기본 5달러 짜리 플랜도 CPU를 나름 괜찮은걸 넣어줘 오라클의 무료 vps 이용시보다 속도가 훨씬 빠르고, 결정적으로 네트워크 속도가 매우 빠르다. 최근에 서울 리전을 지원하게 되면서 국내에서 사용시에도 핑이 괜찮고, 가격은 아래와 같다.(더 비싼 요금제도 있다)
AMD, Intel High Performence

Intel High Frequency

High Frequency와 High Performence의 차이는 SSD 용량, 그리고 CPU이다. High Frequency의 ssd 용량이 조금 더 많은 편이지만 트래픽 용량은 High Performence가 더 많다. 공식 설명에서는 High Frequency는 3GHZ이상의 제온 CPU를 사용하고, High Performence는 최신 세대의 CPU를 사용한다고 나와있다.
Intel Regular Performence

SSD가 일반 SSD이지만 나름 쓸만하다. 하지만 20% 더 내고 High Performence나 High Frequency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추가로, 서울 리전을 이용한다면 해외 아이피가 배정된다.(국내에 아이피가 부족해 해외 아이피를 쓴다고 들었다.)
DigitalOcean
두 번째로 써본 업체는 디지털 오션이라는 업체이다. Vultr를 이용하다보니 2코어를 이용하려면 10달러에서 20달러로 요금이 2배나 올라가 버려서 VPS업체를 찾던 중, 15달러에 2코어/2GB를 이용할 수 있다 해서 알게 되었다. 이 업체를 쓰면서 가장 만족했던 점은 고객지원과 디스크 속도였다. 일반 SSD임에도 불구하고(정확히는 모름, 설명은 일반 SSD) 읽기/쓰기 속도가 2000MB가 나왔다.(20년08월 측정). 고객 지원은 Vultr는 요점만 정리해서 한문장으로 답장해주는 반면, 디지털 오션은 이유까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며 답장을 해줬다.
가격은 아래와 같다. Vultr에 비해 비싸고 서울 리전도 없어 큰 장점이 없어보이지만 상장도 한 만큼 벌쳐보다는 좀 더 믿음이 가는게 사실. 사실 벌쳐나 디지털오션이나 production에 써도 될 정도로 안정적이다. 다만 DigitalOcean는 Neighbor의 영향에서 벌쳐보다 비교적 자유롭다.
Regular

Regular요금제는 일반 SSD를 이용하는데, 벌쳐의 Regular보다 20% 가격이 비싸 벌쳐의 High Performence(Frequency)와 가격이 같다.
Premium(AMD, Intel) - 벌쳐의 High Performence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벌쳐보다 비싸다.
아쉬운점은, 아시아 지역이 싱가포르밖에 없고, Vultr에 비해 지역이 많이 없다.(20년09월18일기준)
Linode
세 번째로 써본 업체는 리노드이다. 무난한 업체이다.
주변 사람들이 가장 만족하며 쓰고 있다고 해서 써보게 되었다. 디스크 속도 준수하고, 인터넷 속도도 준수해서 20년07월부터 지금까지 쭉 써오고 있다. 딱히 만족감은 못 느끼겠는데 확실히 일본 리전이라 그런지 미국보다는 빠르다고 체감된다. 최근 유명 클라우드 컴퓨팅 업체인 akamai에 인수되었다.

가격은 Nanode 1GB를 제외하곤 벌쳐의 High Performence(Frequency), 그리고 디지털오션의 Regular플랜과 가격이 동일하다.
특히 리노드는 어떤 플랜을 쓰던 네트워크 인바운드 속도가 40Gbps이다.(아웃바운드는 플랜마다 다름)
트래픽은 각각 1TB, 2TB이다.
코노하
가격이 비싼편에 속하며, 남의 VPS들이 과부하가 걸리면 내 VPS도 느려진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다.
이 업체의 가장 큰 장점은 트래픽이 무제한이라는것이다.
가격은 아래와 같다.

트래픽이 무제한이라는게 가장 큰 장점이지만, 같은 서버에 있는 남의 VPS에 과부하가 걸리면 내 VPS가 느려진다는게 가장 큰 단점인거같다.
트래픽이 많이 필요하다면 이 업체를 쓰는것을 추천하지만, 다른 이유라면 이 업체를 추천하지는 않는다.
AWS Lightsail
안정성이 중요한 서비스를 돌리게 되어 가격이 저렴한 대기업 상품을 알아보던 중, AWS의 Lightsail이란것을 알게 되었다.
AWS여서 그런지 더 믿음이 간다. 다만 Amazon 인증서를 발급해주지 않기에 Let's Encrypt를 이용해야한다. 첫 가입 시 3.5달러 플랜은 1달 무료이다. 안 보이는 3.5달러 크레딧을 1달동안 주는 것 이다. 다만 3.5달러 플랜에만 적용이 되고 3.5달러 플랜을 여러개 만들면 그만큼 크레딧이 더 빨리 닳는다. 예를 들어 인스턴스를 2개를 생성하면 15일만 이용이 가능하고 4개를 생성하면 7일만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매달 1일에 이 이벤트 크레딧은 없어지니 매달 1일에 가입해서 30일동안 무료를 이용하는것을 추천한다.(만약 말일에 가입을 했다면 이 크레딧은 하루밖에 못쓴다.) 가격은 아래와 같다.

가격은 벌쳐의 Regular와 같지만, CPU 타임을 벌쳐와 디지털오션에 비해 제한을 많이 걸어두고 CPU 성능 자체도 벌쳐와 디지털오션에 비해 열등하다는 이야기가 있다.
GalaxyGate
신생 업체에 속하지만 가성비가 엄청 좋다. 무제한 트래픽 + 4GB 램 + 2코어가 10달러밖에 안한다. 다만 디스크가 조금 느리다.(쓸만한정도이다.) 가격은 아래와 같다.

3달러에 1CPU, 1GB Ram을 주는 것 부터 가성비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어디처럼 ipv6만 할당해 주지도 않는다. 다만 서울 리전이 없어 한국인 접속자가 많은 사이트를 운영하는것은 적합하지 않고, 디스코드 봇 등을 운영하는 것을 추천한다. 램과 CPU는 넉넉히 주지만 디스크 용량은 다른 업체에 비해 적은 편이다. 트래픽이 무제한인게 눈에 띄는 점이다. "비교적"신생 업체일 뿐이지 글쓰는사람은 3년동안 별 탈 없이 이용하고 있다.
국내 업체
Cafe24 VPS
대한민국의 웹 호스팅 업체중 제일 만족하며 쓴 Cafe24에 VPS서비스가 있다 하여 올해 초에 한 번 이용해보고 끊었다. 성능은 만족 하는데, 트래픽이 문제였다. 다른 업체와 같은 가격으로 비교를 해도 트래픽이 약 2/5수준이었다.(설치비까지 있는주제에...) 가격은 아래와 같다.

Cafe24 클라우드
위 VPS의 단점을 극복하는척하면서 이용자에게 돈을 더 내게 만드는(개인적인생각) Cafe24의 클라우드가 최근에 런칭되었다. 가격은 아래와 같다.

가격 변경(10월1일 확인)
요금 6원/시간 => 5원/시간 다만, 공인아이피 요금을 추가로 받음(3원/시간)
시간당으로 설명해놔서 복잡하지만, 트래픽은 한달 720시간 기준으로 모두 1008GB, 요금은 각각 4320원 => 3600원, 10080원으로 메모리와 CPU만 본다면 해외 업체에 비해 1000원~2000원정도 저렴하다. => 공인아이피 요금을 추가로 받기에 인스턴스 하나당 2160원을 추가로 내야 한다.
다만 트래픽이 시간당이다. 따라서, 갑자기 트래픽이 몰리게 될 경우에는 추가 트래픽 1GB당 165원을 지불해야한다. 한달에 이용하는 트래픽은 1TB인데 이용자가 몰릴 때 발생하는 트래픽이 시간 당 50GB일경우 그 시간에 몰린 트래픽때문에 8019원을 내야하는것이다. 아까 돈을 더 가져간다고 말한 이유가 이것 때문이다 만약, 시간당 쓰는 트래픽이 예측이 가능할정도로 일정하고 1.4GB이하라면 Cafe24클라우드를 추천한다.
Gabia클라우드
국내에만 이용자가 있거나 테스트서버로만 사용할거면 추천한다.

총정리
10달러기준(클라우드 가격이 전체적으로 오르며 10달러~14달러까지 다양해졌다, 5달러에 근접한 요금제 기준)

5달러기준(클라우드 가격이 전체적으로 오르며 5달러~7달러까지 다양해졌다, 5달러에 근접한 요금제 기준)

* 이 글에 있는 대부분의 정보는 2023년 05월 02일에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한국어 디스코드 뮤직봇 추천, 초대 방법(파크봇)
한국어 디스코드 뮤직봇 추천, 초대 방법(파크봇)
2020.12.17디스코드에는 수 많은 음악봇들이 있다. 다만 대부분의 봇이 영어이고, 서버가 미국에 있어 한국에 있는 유저들은 음악이 끊겨 제대로 들을 수 없다. 글쓰는사람이 인터넷을 돌아다니며 힘들게 찾던 중, 파크봇을 알았다. 파크봇은 원더봇을 만든 팀인 팀 칼리스토에서 만든 뮤직봇이다. 한국어이고, 서버도 한국에 있어 끊기지 않는다. 초대하기 먼저, https://parkbot.ml 에 들어간다. 초대하기를 누른다. 초대하기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뜰텐데 3개의 약관을 잘 읽어보고 동의한다는 버튼을 누른다. 이제 초대할 서버를 선택하면 된다. 자신이 관리자여야 된다. 서버 선택하기를 클릭 후 자신이 파크봇을 초대하기 원하는 서버를 누르고 계속하기를 누른다. 무려 278개의 서버에서 사용중인 믿음직한 봇이다. 관리자 … -
ipTIME A3004NS-M 리뷰
ipTIME A3004NS-M 리뷰
2020.12.06광고가 아닙니다 그동안 통신사 공유기를 쓰다가 Pi-hole(DNS광고차단)을 구축한 후 통신사 공유기는 DNS변경이 되지 않아 정상적인 공유기를 알아보던 중 A3004NS-M을 지인이 추천해줘서 구매하게 되었다. 외관 생각보다 상자가 작다… 공유기가 통신사 공유기 크기의 2배라는 리뷰를 봐서 공간을 다 만들어 놨는데 기존에 쓰던 통신사 공유기 보다 ipTIME A3004NS-M이 더 작아서 다시 위치를 생각한 끝에, 모니터 뒤에 놓기로 하였다. 왼쪽에는 Pi-Hole을 구축한 라즈베리파이 3B를 두었고, 아래는 공유기를 두었다. 마침 A3004NS-M에 NAS를 위한 USB포트가 있어서 라즈베리파이에 전원을 공급하기도 쉬웠다. 또한 기본 구성품으로 CAT6케이블이 들어있어 기가 인터넷을 제대로 사용할… -
무료로 24시간 마인크래프트 서버 여는 방법
무료로 24시간 마인크래프트 서버 여는 방법
2020.10.07램 등이 부족한 경우 여기를 클릭해서 저렴한 유료 마인크래프트 호스팅 참고 이곳에 나와있는 방법은 해외결제가 가능한 신용/체크카드가 필요합니다.(비용은 청구되지 않습니다.) 해외결제가 가능한 체크카드를 발급하는 방법은 이 글에 나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미성년자 추천 체크카드를 정리해 두었습니다. 또한, 리눅스와 ssh에 대한 기본 지식이 없는 경우 이 글을 따라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하기 어렵다면 아래 글을 참고해 저렴한 가격으로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열 수도 있습니다. 24시간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여는 3가지 방법 - 루시너리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열어 친구들과 함께 마인크래프트를 즐기는 것은 마인크래프트를 즐기는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굉장히 낭만적인. 한 친구가 서버를 열 때만 다른 친… -
마인크래프트 렐름 구매 방법과 후기
마인크래프트 렐름 구매 방법과 후기
2020.09.04저번 글이랑 이어집니다. 렐름은 2013년[1]부터 현재까지 마인크래프트 개발사인 Mojang AB에서 운영중인 마인크래프트 서버 호스팅 서비스이다. 저번 글에서 말 했드시 핑이 높지만 다른것에 비해 구축이 매우 쉽고 맵도 많아 친구들이랑 놀기에는(가격만 빼면) 매우 좋은 서비스이다. 마인크래프트 서버와 같지만 초대받은 사람만 들어갈 수 있으며 소유자의 접속 여부에 상관없이 초대한 유저들은 접속가능하다. 또한 요금은 소유자만 지불하기 때문에 소유자가 요금을 잘 낸다면 초대받은 유저들은 무료로 접속할 수 있다. 참고로 렐름은 최신버전에서만 작동한다. 렐름은 자바 에디션과 베드락 에디션이 있으며, 자바 에디션 서버는 PC용 마인크래프트 자바 에디션으로만 접속 가능하고, 베드락 에디션 서버는 베드락 에디션에 …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